제주의 역사, 자연, 민속, 문화 등 향토사 중심의 교육 강좌
교육기간: 3월 ~ 10월
매주 월요일 / 이론 16:00~18:00 / 답사 9:30~16:00
정원: 40명
2025년 문화대학 운영표
강 좌 명 |
일 자 |
강 사 |
조선후기 제주지역 마애석각의 시기별 조성 내용과 특징 |
3월 10일, 17일 |
백종진(제주문화원 사무국장) |
제주의 분묘문화와 석인상 |
3월 24일, 31일 |
이창훈(제주동자석연구소장) |
답사 1 |
4월 7일 |
백종진(제주문화원 사무국장)이창훈(제주동자석연구소장) |
유적과 유물로 본 탐라의 역사 |
4월 14일, 21일 |
고재원(제주문화유산연구원 이사장) |
16세기 후반 임제(林悌)의 제주 기행 『남명소승(南溟小乘)』 |
4월 28일 |
홍기표(제주역사문화진흥원장) |
제주 원도심에 새겨진 별의 왕국, 탐라 |
5월 12일 |
강문규(서귀포시문화도시추진위원회 위원장) |
답사 2 |
5월 19일 |
고재원(제주문화유산연구원 이사장) |
답사 3 |
5월 26일 |
강문규(서귀포시문화도시추진위원회 위원장) |
제주신화를 찾아서 |
6월 2일, 9일 |
김순이(제주문학관 명예관장) |
답사 4 |
6월 16일 |
답사 5(체험프로그램 병행) |
6월 23일 |
제주향교 답사 + 선비 체험 |
제주 고지도와 풍수지리 |
6월 30일, 7월 7일 |
오상학(제주대학교 지리교육과 교수) |
답사 6 |
7월 14일 |
제주향토사 특강 |
7월 21일, 28일 |
|
제16회 향토문화발전세미나 |
6~9월 중 |
|
제주의 돌챙이와 연장 |
9월 1일, 8일 |
조환진(돌빛나예술학교 대표) |
답사 7 |
9월 15일 |
제주도 올래의 성격과 종류 |
9월 22일, 29일 |
송일영((주)올래와 정낭 건축사사무소 대표) |
답사 8 |
10월 13일 |
답사 9(체험프로그램 병행) |
10월 20일 |
곶자왈 답사 + 힐링커뮤니티댄스 |
수료식 |
10월 27일 |
|
*교육 및 수강신청 문의 : 064-722-0203,0205